백준 2108번, 통계학
백준 2108번 c++ 문제풀이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중앙값을 출력한다.
셋째 줄에는 최빈값을 출력한다.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최빈값 중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출력한다.
넷째 줄에는 범위를 출력한다.
풀이:
아마 최빈값의 출력 조건으로 인해 까다로운 문제가 될거 같다.
각각의 함수를 작성후 출력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풀었다.
나머지는 그렇게 까다로운 것이 없으니, 최빈값의 출력 조건에 대해 풀이 하자면 처음 숫자들을 입력 받을 때, 0으로 초기화된 input[8001]에 (입력받은 숫자 + 4000)인덱스 위치의 배열값을 증가 시킨다. 입력받는 정수의 절대값의 크기가 4000을 넘지 않기에 크기를 8001로 잡았다. 이렇게 되면 입력 받은 숫자의 빈도가 배열 input에 저장된다. 이렇게 된 배열을 가지고 최대빈도를 가지고 있는 인덱스 값을 찾는다. 이후, 이 빈도와 같은 빈도가 있는지 반복문을 돌리가 찾은 즉시 break한다. 이유는 두번째로 작은 값이기 때문이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cmath>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average(vector <int> input,int n){
int result;
int sum =0;
int ave;
for(int i=0;i<n;i++){
sum+=input[i];
}
ave = round((float)sum/n);
result = ave; // 반올림함수
return result;
}
int mid(vector <int> input, int n){
int result;
result = input[n/2];
return result;
}
int freq(int input[],int n){
int result;
int max = 0;
int tmp;
for(int i=0;i<8001;i++){
if(input[i] > max){
max = input[i];
tmp = i;
}
}
for(int i=tmp+1;i<8001;i++){
if(input[i] == max){
tmp = i;
break;
}
}
result = tmp - 4000;
return result;
}
int width(vector <int> input){
int result;
result = input.back() - input.front();
return result;
}
int main(){
int n;
vector <int> input;
int inputnum[8001] = {0,};
cin >> n;
for(int i=0;i<n;i++){
int num;
cin >> num;
input.push_back(num);
inputnum[4000+num]++;
}
sort(input.begin(),input.end());
cout << average(input, n) << "\n";
cout << mid(input, n) << "\n";
cout << freq(inputnum, n) << "\n";
cout << width(input) << "\n";
return 0;
}
감사합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