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BCI(3) - 비 침습 BCI 방식

BCI(3) - 비 침습 BCI 방식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 파이프라인:


Control Paradigm -> Acquisition -> Processing -> Prediction -> application(여기서 다시 처음으로)

  • Control Paradigm: 뇌파를 생성
  • Acquisition: Acquisition장비를 통해 뇌파 측정. 침습식(Spike, LFP), 비침습식(EEG, MEG)으로 측정할 수 있다.
  • Processing: 측정한 뇌파 신호를 노이즈를 제거하고, 필터링을 하여 원하는 신호를 추출한다.
  • Prediction: 측정한 신호를 머신러닝이나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측정한 사람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 application: 위의 예측을 통해 게임이라거나 치료목적으로 적용할 수있다.

명령 패러다임:

방식시스템과의 상호 작용뇌파의 발생사용 용도사용 예
Active BCI의도함사용자의 의도로조작신체의 움직임을 상상, 자발적 학습
Reactive BCI의도함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조작정상상태시각관련유발전위(SSVEP), 사건유발전위(P300)
Passive BCI의도하지 않음자발적 발생부가 조작(또는 조작)감성 혹은 집중력정량화, 오류신호를 이용한 오류 정정

운동상상(Motor Imagery) BCI:

신체 움직임에 대하여 실제로 움직이거나, 상상하거나, 다른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할 때에도 뇌파의 변화가 나타남

P300 BCI:

사건유발전위를 활용.
사건유발전위(ERP: event-related potential)이란 어떤 사건(시각, 운동시작, 촉각자극 등)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뇌파
예를 들어 화면에서 쳐다보고 있는 글자가 반짝거렸을 때에 뇌파의 크기와 보지않는 글자가 반짝거렸을 때의 뇌파의 크기는 다르다.

정상상태시각유발전위(ssvep) BCI:

외부의 시각자극의 정보(ex. 주파수)가 뇌파에 투영되어 나타남.
예를 들어 17Hz의 정보를 보고있는 사람의 뇌의 17Hz 성분이 급격하게 커짐

Passive BCI:

정신상태(우울, 집중 등)를 정량화하여 어플리케이션에 활용. 관련 기업들의 어플들은 대부분 Passive BCI를 활용한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